오늘날짜로 코로나 확진자수는 20만명으로
전날에 비해 확 줄은 것을 알수 있습니다.
제 생각엔 정점을 지나고 있다고 생각해요.
확진자수는 많은편이지만 사망률은 낮다고 하니
우리나라 방역점수 백점입니다.😁
문득 궁금해졌습니다.코로나 재확진 확률.
주위에서 보면 델타바이러스 감염 후 오미크론 재감염 사례가 있다고 합니다만
오미크론 바이러스 완치 후 다시 오미크론 재감염 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대선 이후 코로나 방역정책 완화 소식에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어요.
아직 시기상조다 VS 자영업자들을 위해서 풀어줘야 한다.
정점을 지나고 감기처럼 우리 일상에 코로나가 정착된다면
이제 마스크도 벗게 될텐데요.
코로나 확진자의 재감염 확률이 궁금해지네요.
지금까지 연구결과들을 보면 오미크론 감염자는 재감염 가능성이 낮고
감염되더라도 가볍게 지나갈 가능성이 많다고 합니다.
델타와 다르게 오미크론 변이의 재 감염 지수는 10배 늘어났다고는 하나
덴마크의 경우 확진자수 180만명중 재감염 확진자수는 67명이라고 하네요.
하지만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 스텔스바이러스입니다.
BA.2 바이러스(별칭 스텔스바이러스)의 국내점유율은 3월둘째주 기준으로
26%라고 합니다. 덴마크의 경우 정점을 지나간후 BA.2 바이러스가 우세종으로
자리잡았다고 합니다. 그러니 안심할 수 없는거죠.
전문가들도 안심할때가 아니라고 합니다. 새로운 변이 나오면 재감염 사례 늘수도 있다고 합니다.
스텔스, 오미크론 보다 회피능력이 나은 변이 바이러스가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그동안 평균 6개월 단위로 알파, 델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했다.
이 말은 오는 5~6월에도 새로운 변이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라며
“드물지만 이미 해외에서 BA.2 재감염 사례가 있고, 새로운 변이가 발생한다면 또 다시 감염될 위험이 있는 만큼 경각심을 낮춰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렇게 계속해서 많은 변이바이러스가 나온다면
예방하기는 무척 어려울것 같습니다.
예방보다는 치료에 초점을 맞춰 코로나에 걸려도
독감처럼 치료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정말 함께 가야 할 존재인가 봅니다.코로나 너란 녀석.
우리도 언젠가는 마스크 벗고 생활할 수 있겠죠.
너무 그립네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비엠 유.무상증자 발표. 주가 고공행진.호재.전망 (1) | 2022.04.08 |
---|---|
추억의 포켓몬 빵 대란(파는곳, 종류,가격) (0) | 2022.03.19 |
구준엽 서희원 대만에서 혼인신고 완료(러브스토리 및 과거언급장면포함) (0) | 2022.03.17 |
스물다섯 스물하나 작가 표절 논란 (2) | 2022.03.15 |
나는 솔로 6기 결혼 커플 탄생(인스타 링크포함) 6기 러브라인 (0) | 2022.03.11 |
댓글